지장간 3 – 더큼학당 창광

2024. 4. 20. 00:47명리속 세상 알아가기

 

지장간 3 더큼학당 창광

 

신금, 계수, 을목, 정화 = ,,,미에 입묘된 거

과거에서 온 재능이 잠재되어 있다.

 

, , , = ,,,해 건록지.

인중의 갑목이 녹을 입으려면 인,,술 삽합이 되어야 한다.

 

생지

미래의 목적에서 온 거 / 미래의 목적을 위해, 자기가치를 만드는 거 / 미래가 앞서 왔다.

 

장생지

인 / 병화 / ,,병 / ,=똑똑 / 갑,=잘 생겼다.

갑목의 줄기, 인중의 갑목, 세자마마. 커서 왕이된다.

미래의 성장, 목적(기득권)을 가지고 현재. 자기개발,

자기 투자를 통하여 능력을 크게 만들어 나가다.

인중의 목생화. 순서에 맞게 옛 어른들이 배우고 익힌 것을 모델 삼아

미래의 기득권을 가진 큰 인물이 된다. 왕자 교육.

,,술 삼합되면, 갑목이 습득해서 병화가 된다. 왕이 된다.

엘리트 과정을 거쳐서 지배권을 가진 인물로 성장을 해 나간다.

 

인이 술을 보면 /  과거 영웅들의 발자취를 따르겠다는 마음을 가지고,

인이 오를 보면 /  나도 세상에 공을 남기고 가겠다.

 

사중의 경금 / ,= 가지가 무성, 화려하다 / 을,병,경

경금이 생지, 병화가 점차 자라서 왕이 되야하는데

축이라는 인간존중의 마음이 몸속에 있어야 하고, 사람은 중요하다.

못쓰는 물건이 없다. 는 마음을 가지고 절차를 밟아 살아가면

많은 사람이 추앙하는 지도자가 된다.

사중의 삼합 - 사,,

사중의 경금을 꺼내서 잘 쓰려면 축은 /  사회에서 성공하려면 사람에게 잘 해야 한다.

사,유를 보면  / 부자되려면 물건 하나도 아껴써야 한다.

 

신중의 경금

대작, 명작, 명인, 장인, 달인, 명의,가 되는 거.

,,진 =  삼합

신이 자를 보면

아이디어, 새로운 창작력을 발휘하는 거.

신이 진을 보면

사람들에게 이롭고 필요한 걸 만들어내는 거.

,= 잘 익었다. 숙달됬다. /  ,= 가격이, 품질이 좋다. ,,

삼합이 없으면 일 처리가 안된다.

 

해중의 갑목 /  갑목이 장생 하고, 노강한 건 임수

, = 가격이 좋다  /  임, = 능력, 인정 받는다  /  , ,

사람은 시작할 때가 있고, 물러설 때가 있다.

갑목은 우뚝서고, 임수는 시간적, 공간적으로 전달받는 많은 교류, 교역한다.

= 사람들의 경력과 경험을 쌓은 우수한 기술을 전하는 거. 문화를 전수한다. 방법.

= 물건을 전하는 거. /  ,=선장

 

,,,미의 삼합은 / 용사는 재능으로 나타나고

,,,해의 장생이 삼합이 되면 / 국을 이뤄서 지위로 나타난다.

 

직업적 성향 = 월지 / 개인적 성향 = 일지

개인의 능력을 고강하게 해서 직업으로 만들수도 있다./ 일지에서 월지로 가는 거.

월지 = 환경을 활용해서 직업을 만든 것.

년 과 시는 주축이 아니다.

삼합은 진,,,미가 이끌었나 / ,,,해가 이끌었는지를 본다.

 

왕지

형체가 완성되는 모습. 근묘화실

= 출생, 초심, 핵이 생김. 마음이 완성됨. []

= 출산. 새로운 작품이 완성됨. 새롭게 경력과 경험을 한 마음이 완성됨. []

= 새로운 생각이 행동으로 나타남. 내 몸이 완성됨. 물건이 완성됨. []

= 무겁다. 움직인다. 새롭게 경력과 경험을 쌓은 최고의 작품이 완성됨. []

       오랫동안 경험한 나의 행동, 그것을 이어받은 나의 자식의 행동.

자,오 =   내가 사는 이치               /            묘,유 = 자식에게 전수하는 마음

,=오래전 일을 기억해서 잊지않고  두고 두고 얘기함.

,= 마음을 내고, 이루고(내가 사는 이치)

,= 새로운 마음을 내고, 또 이루는 거(자식이 사는 이치를 전수하는 마음)이 담겨져 있다.

 

,묘형 = 생각과 행동이 합쳐질수도, 달라질 수도 있다.

,오충 = 엄마생각, 자식생각이 다르다. 말로 싸운다.

,유충 = 유가 묘를 만나 묘유충, 물건을 가져간다. 보탬이 된다.

지지,지장간은 /  진짜 쓰는 거 / 진짜 나타나는 현상 / 지지에 오만상의 마음과 물건들이 실제로 오간다.

 

자중의 임수

남의 지식, 남의 마음을 듣는 내 마음 / 귀 / 듣는 거 / 지식, 작곡  / 토극수가 심하면 남의 말을 안 듣는다.

자중의 계수

내 말을 듣는 나 / 계수가 토극수가 심하면 내가 내 말을 안 듣는다 / 자기와의 약속을 안 지킨다.

오중의 병화

눈 / 보는 거  / 지식, 노래남에게 듣고, 보고, 배우는 거.

오중의 정화

자기가 하는 짓을 보고 깨닫는 거.

 

초심을 잃지 않으려면, 자가 있어야 하는데

,,진 삼합을 하면  나이가 든 사람이면 지난 시절 겪은 경험이  해본 마음에 있다.

젊은이 라면 해보려는 마음이 있다. 

자가 - 해,,축 방합을 하면,

그 자리에 정착해서 안정되게 살고싶은 마음이 있는 거.

자가 오에 상충을 했으면,

내 자식도 잘 살아야 한다는 마음이 있다.

 

자식 복이 있으려면  / 유[자식]가 있어야 한다.

말년에 마음 편하게 살려면 / 오가 있어야 한다.

말년에 금전복이 있으려면 / 유가 있어야 한다.

초심을 잃지 않으려면, 자가 있어야 한다.

이들은 삼합을 하건, 안 하건, 형체로 그대로 쓰인다.

 

오는 유를, 유는 오가 있어야, 자식이 순서에 맞게 살아 간다.

유는 있는데 오가 없으면, 허무대는 멀쩡한데 머리에 든게 없다.

오는 있는데 유가 없으면, 공부 잘하고 똑똑한데 일을 안 한다.

자는 있는데 묘도, 유도, 오도, 없으면, 똑똑한데 일은 안 한다.

 

자는 묘를, 묘는 자를 봐야 한다.

자가 묘를 안 보고, 오를 보면,

자기는 안 해보고 자식에게 말로만 하라고 한다.

자만 있고 묘가 없으면,

나는 계획만 짜고, 말 만하고, 일은 묘있는 사람이 한다.

묘만 있고 자가 없으면,

전략, 계획짜는 사람을 만나거나, 자 있는 사람을 만나야 한다.

 

병화가 안 좋으면 시력 문제

임수가 안 좋으면 청력 문제

묘목가 안 좋으면 사지 손발 문제

유금이 안 좋으면 다리 문제

 

묘중의 갑목 = 갖춘 형태, 생산, 연습하다. 배우고, 익힌 재주 보유.

묘중의 을목 = 쓸만한 형태로 가공하다, 대회에 나가다.

유중의 경금 = 제조, 재주를 발휘하다.

유중의 신금 = 상품 으로 출시.